엑셀 DAYS360 함수 사용법 및 공식 총정리
엑셀 DAYS360 함수 목차 바로가기
함수 요약
엑셀 DAYS360 함수는 1년을 360일(1달=30일)로 보고 두 날짜 사이의 일 수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함수 구문
= DAYS360 (시작일, 종료일, [계산방식])
인수 알아보기
인수 | 설명 |
시작일 | 고유값을 추출할 배열 또는 범위입니다. |
종료일 | 고유값을 조회할 방향입니다. |
계산방식 [선택인수] |
기본값은 TRUE 입니다. TRUE 일 경우 시작일 또는 종료일이 31일이면 그 달의 30일로 처리합니다. FALSE일 경우 시작일이 31일이면 그 달의 30일로 간주하며, 시작일이 30일보다 작고 종료일이 31일일 경우 종료일은 다음달의 첫번째 날짜로 간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종료일을 그 달의 30일로 처리합니다. |
상황 | 계산방식: TRUE [기본값] | 계산방식: FALSE |
시작일 : 2020-03-01 종료일 : 2020-03-30 |
29 | 29 |
시작일 : 2020-03-01 종료일 : 2020-03-31 |
29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 | 30 '31일을 다음달 1일로 간주합니다. |
시작일 : 2020-03-30 종료일 : 2020-03-31 |
0 '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 | 0 '시작일이 30일이므로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 |
시작일 : 2020-03-29 종료일 : 2020-03-31 |
1 '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 | 2 '31일을 다음달 1일로 간주합니다. |
시작일 : 2020-03-29 종료일 : 2020-04-01 |
2 | 2 |
DAYS360 함수 상세설명
엑셀 DAYS360 함수는 1년을 360일(1달=30일)로 보고 두 날짜 사이의 일 수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1년을 360일(12달 x 30일) 기준으로 하는 회계체계를 사용중일 경우 DAYS360 함수를 사용하여 직원의 임금, 초과근무수당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두 날짜 사이의 주말 및 공유일을 제외한 근무일 수를 구하려면 NETWORKDAYS.INTL 함수를 사용합니다. 시작일로부터 특정 근무일수가 지난 종료일을 구하려면 WORKDAY 함수를 사용하세요.
DAYS360 함수 사용법 간단예제
- 한달 30일 기준으로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근무일 수 구하기
=DAYS360("2020-12-27","2020-02-15")
=312일 '1년을 360일 기준으로 한 두 날짜 사이의 근무일수입니다. - 1년 360일 기준으로한 일평균임금 계산하기
=전체지급액/DAYS360("2020-12-27","2020-02-15")
=전체지급액/312 ' 1년을 360일 기준으로 한 일평균 급여가 계산됩니다.
호환성
운영체제 | 호환성 |
Windows 버전 | 모든 엑셀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Mac 버전 | 모든 엑셀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예제파일 다운로드
오빠두엑셀의 강의 예제파일은 여러분을 위해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엑셀함수] 엑셀 DAYS360 함수 사용법예제파일
관련 기초함수
그 외 참고사항
- 엑셀 DAYS360 함수의 시작일과 종료일은 반드시 날짜로 인식가능한 날짜형태의 값 또는 숫자 일련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고 다른 텍스트가 입력될 경우 DAYS360 함수는 #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엑셀에서 인식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는 1900년 1월 1일입니다. 따라서 그 보다 이전 날짜를 입력할 경우 함수는 #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DAYS360 함수는 마지막 인수인 계산방식에 따라 같은 시작일과 종료일을 선택하더라도 다른 결과값이 반환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