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키워드 분석, 엑셀로 자동화하세요: 초보자도 가능한 무료 템플릿!

No 코딩! 엑셀의 파워쿼리 함수만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자동화해보세요! 네이버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 자동화 대시보드 공개!🔥

# 대시보드 # 파워쿼리

작성자 :
오빠두엑셀
최종 수정일 : 2024. 10. 28. 11:48
URL 복사
메모 남기기 : (35)

엑셀 실시간 키워드 분석, 초보자도 가능한 자동화 대시보드

엑셀 키워드 분석 대시보드 목차 바로가기
영상 강의

큰 화면으로 보기

예제파일 다운로드

오빠두엑셀의 강의 예제파일은 여러분을 위해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엑셀 키워드 분석 대시보드 템플릿
    회원자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빠두엑셀 전진권입니다.

오늘은 키워드 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계신 분들을 위하여, 엑셀만으로 키워드 분석을 자동화하는 대시보드를 준비했습니다!😎

엑셀-키워드-분석-대시보드-gif-min
엑셀 기본 기능만으로 제작한 키워드 분석 자동화 대시보드를 업무에 바로 활용해보세요!😎

엑셀의 파워쿼리 기본 기능만 활용하여, 네이버 검색광고 + 데이터랩 API를 연동해서 네이버, 쇼핑, 구글, 쿠팡의 연관 검색어와 트렌드를 한 번에 분석하는 대시보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대시보드는 윈도우 엑셀 2016 이후 모든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Mac 엑셀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오빠두Tip : 오늘 강의에서는 키워드 분석 대시보드를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시보드를 제작하는 전체 과정은 아래 위캔두 멤버십 라이브 전체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개인 정보 수준 변경하기

  1. [데이터] 탭 - [쿼리 옵션]으로 이동합니다.
    쿼리옵션
    [데이터] 탭 - [쿼리 옵션]으로 이동합니다.
  2. 전역 그룹에서 [개인 정보]를 선택한 후, '개인 정보 수준'으로 [항상 개인 정보 수준 설정을 무시]를 체크하고 쿼리를 다시 실행합니다.
    개인정보-무시-설정
    전역 그룹의 [개인 정보]를 선택한 후, '항상 개인 정보 수준 설정을 무시'를 체크합니다.

네이버 검색광고 API키 신청하기

  1. 예제파일을 실행한 후,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해서 서식에 사용된 파워 쿼리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엑셀-콘텐츠-사용-체크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해서 파워쿼리를 활성화합니다.
  2. 마지막 시트인 [API 정보] 시트로 이동한 후, B5셀을 클릭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네이버 검색광고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후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중인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합니다.

    네이버-검색광고-로그인
    네이버 검색광고 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3. 로그인 후, [광고 플랫폼] - [도구] - [API 사용 관리] 영역으로 이동합니다.
    네이버-검색광고-키워드-분석-api
    [광고 플랫폼] - [도구] - [API 사용 관리] 영역으로 이동합니다.
  4. [네이버 검색광고 API 서비스 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CUSTOMER_ID, 엑세스라이선스, 비밀키가 발급됩니다. 각 값을 복사하여 엑셀 서식으로 붙여넣습니다.
    네이버-검색광고-api-신청
    API키와 비밀키를 발급받은 후, 엑셀 서식에 값을 붙여넣습니다.
    오빠두Tip : 복사/붙여넣기 시, 복사한 값의 양 끝으로 보이지 않는 공백문자가 있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백문자 없이, 깔끔하게 값만 붙여넣는 것을 주의하세요!

네이버 데이터랩 API키 신청하기

  1. [API 정보] 시트에서 B6셀을 클릭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네이버 데이터랩 개발자 센터로 이동한 후, 사용중인 네이버 아이디로 회원을 완료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데이터랩 개발자센터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네이버-데이터랩-로그인
    네이버 개발자 센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화면 상단의 [Application] - [Application 등록]으로 이동합니다.
    네이버-개발자-센터-api-등록
    [Application] - [Application 등록] 으로 이동합니다.
  3. 다음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이용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이용 신청서를 모두 작성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오른쪽에 체크아이콘이 표시됩니다.
    ① 애플리케이션이름 : 엑셀키워드분석 (또는 본인이 알기 쉬운 이름으로 자유롭게 작성)
    ② 사용 API : 데이터랩 (검색어트렌드), 데이터랩 (쇼핑인사이트)
    ③ 서비스 환경 : WEB 설정 → http://oppadu.com
    (http:// 로 반드시 시작하고, www는 빼고 입력하는 것을 주의합니다.)

    엑셀-키워드-분석-api-신청
    그림과 같이 API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4.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한 후, 발급된 Client ID와 Client Secret 값을 (4), (5) 항목에 붙여넣기하면 키워드 분석 대시보드를 사용할 준비가 모두 끝납니다.

엑셀 키워드 분석 대시보드 사용법

  1. 등록한 API키로 대시보드 활성화 : API키를 모두 등록한 후, [데이터] 탭 - [쿼리 및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에 '쿼리 및 연결' 패널이 표시됩니다.
    엑셀-파워쿼리-쿼리-및-연결-표시
    [데이터] - [쿼리 및 연결]을 클릭하여 쿼리 및 연결 패널을 표시합니다.
  2. 쿼리 및 연결 패널에서 느낌표로 표시되는 '검색광고 키워드' 쿼리를 우클릭한 후, [편집] 을 클릭해서 파워쿼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엑셀-파워쿼리-편집기-실행
    검색광고 키워드 쿼리를 우클릭 - [편집]을 클릭해서 파워쿼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3. 편집기 상단에 표시되는 [자격증명 편집] 또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버튼을 클릭한 후, 익명으로 엑세스 권한을 설정합니다.
    파워쿼리-자격증명-편집
    [자격 증명 편집] 버튼을 클릭한 후, 익명으로 권한을 설정합니다.
  4. 쿼리의 느낌표가 모두 사라질 때까지, 나머지 쿼리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권한을 모두 설정합니다.

    엑셀-키워드-분석-쿼리-준비-완료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쿼리의 권한을 모두 설정합니다.
  5. [파일] 탭 - [닫기 및 로드]를 클릭해서 파워쿼리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파워쿼리-로드
    [파일] - [닫기 및 로드]로 파워쿼리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6. 대시보드 사용하기 : [키워드 검색] 시트로 이동한 후, 검색할 키워드와 시작/종료일을 입력합니다.
    엑셀-키워드-분석-시작일-키워드-입력
    시작일, 종료일, 검색할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오빠두Tip : 시작일은 쇼핑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2017년 8월 1일 이후 날짜로 입력합니다. 그 이전 날짜로 시작일을 입력하면 오류가 발생하니 주의해주세요!
  7. 값을 모두 입력한 후, [데이터] 탭 - [모두 새로고침]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Ctrl + Alt + F5 를 동시에 눌러 쿼리를 새로고침하면, 네이버/네이버쇼핑/쿠팡/구글의 키워드 데이터 취합을 시작합니다.
    엑셀-키워드-분석-모두-새로고침
    [데이터] - [모두 새로고침]을 클릭하거나 Ctrl + Alt + F5 로 쿼리를 새로고침합니다.
  8. 이제 버튼을 클릭해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분석해보세요! Ctrl 키를 누른상태로 버튼을 클릭해서 여러 항목을 편리하게 비교/분석할 수 있습니다.

    엑셀-키워드-분석-대시보드-완료
    슬라이서를 클릭해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비교/분석할 수 있습니다.
  9. 네이버 쇼핑 분석 시트 : 네이버 쇼핑 분석 시트에서는 각 키워드를 검색했을 시, 네이버 쇼핑 상단에 표시되는 제품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M365 버전에서는 IMAGE 함수를 사용해서 URL의 이미지를 엑셀에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J3셀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IMAGE 함수를 입력하면 URL의 이미지가 한 번에 불러와집니다.
    = IMAGE (URL주소)
    네이버-쇼핑-크롤링-이미지
    Image 함수를 사용하면 URL의 이미지가 셀에 바로 출력됩니다.
    오빠두Tip : 엑셀 이전 버전 사용자는 아래에 정리해드린 xIMAGE 함수 사용 방법을 참고하세요!
  11. 검색광고 분석 시트 : 검색광고 분석 시트에서는 특정 단어를 포함하거나 검색량이 특정 숫자보다 많은 키워드를 편리하게 필터링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단, FILTER 함수는 엑셀 2021 이후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한 점을 참고해주세요!😉
    엑셀-키워드-분석-실시간-필터-gif-min
    특정 단어, 검색량 기준으로 실시간 필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빠두Tip : FILTER 함수 사용법은 아래 5분 기초 영상 강의에서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엑셀 이전버전) xImage 함수 사용법

  1. 엑셀에서 단축키 Alt + F11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개발도구] - [Visual Basic] 버튼을 클릭하여 매크로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엑셀-매크로-편집기-실행
    Alt + F11 을 동시에 누르거나 Visual Basic 버튼을 클릭해서 매크로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오빠두Tip : 만약 개발도구가 보이지 않을 경우, 리본메뉴를 우클릭 - '리본메뉴 사용자 지정'에서 개발도구를 활성화합니다.
  2. [삽입] 탭 - [모듈]을 클릭해서 새 모듈을 추가합니다.
    새-모듈-추가
    [삽입] - [모듈]을 클릭해서 새로운 모듈을 추가합니다.
  3.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xImage 함수 페이지로 이동한 후, 페이지 중간에 있는 "xImage 명령문 전체 코드"를 드래그해서 복사합니다.

    ximage-함수-복사
    xIMAGE 함수 코드를 복사합니다.
  4. 복사한 코드를 비어있는 모듈에 붙여넣습니다.

    엑셀-ximage-함수-붙여넣기
    새 모듈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기합니다.
  5. 매크로 편집기를 종료한 후, 시트에서 다음과 같이 xIMAGE 함수를 입력 후 실행하면 URL 주소의 이미지가 시트에 출력됩니다.
    =xIMAGE(URL주소)
    엑셀-이미지-불러오기-함수
    매크로 편집기를 종료하면, 앞으로 시트에서 xIMAGE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빠두Tip : xIMAGE 함수는 URL의 이미지를 직접 받아옵니다. 따라서 함수 여러 개를 동시에 입력하면 처리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니 주의해서 사용하세요!
  6. xIMAGE 함수는 매크로 함수이므로, 완성된 파일은 '매크로 포함 통합문서'로 저장해야 합니다. [파일] 탭 - [다른 이름으로 저장]으로 이동한 후, 파일 형식을 '매크로 사용 통합문서'로 저장합니다.

    Snipaste_2024-06-14_11-04-21
    매크로 사용 통합문서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대시보드에 사용된 파워쿼리 마스터 함수

함수를 만드는 방법과 대시보드를 제작하는 전체 과정은 위캔두 멤버십 라이브 영상에서 자세히 다루었으니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① 함수 제작 과정 (위캔두 프리미엄)

② 대시보드 제작 과정 (위캔두 플러스)

대시보드에 사용된 키워드 분석 관련 파워쿼리 마스터 함수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 변경이 있을 시, 링크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오니 변경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description html_url
NaverShoppingList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17ad313e26a5062239431168e08b82c2
NaverShoppingKeywords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f842865b6a9b528b966f1fa0955c657d
NaverShoppingCount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309a29d311bd057ec00358927e0f711e
NaverShoppingCategory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cc9b647edf1c6950ac4640c4b204bbb3
NaverDataLab_Trend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a01973ae2bca6a3e247c487f0baec168
NaverDataLab_Gender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cda3a63954edb3be459e05d6baefe27e
NaverDataLab_Device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61757b4fb99c7804f334f8f451b6d7f8
NaverDataLab_Age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34e5536b6bf13cb90d4a7eab4b368a18
NaverBlogCount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1d41426121cec536c08292d0629a0a10
NaverADKeywords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7cc6d78da52a100f9152783f23e1315b
GetSearchKeyword 함수 (PowerQuery M) https://gist.github.com/JinKwonJeon/aca8cf0d78245262ae8f66894e92d696

 

 

5 29 투표
게시글평점
35 댓글
Inline Feedbacks
모든 댓글 보기
35
0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