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데이터타입 (데이터형식)
실습파일 |
요약
엑셀에서 사용하는 숫자, 날짜, 텍스트, 논리값 등 다양한 데이터타입의 종류를 이해합니다.
설명
엑셀의 워크시트에서는 크게 4개의 데이터타입(숫자, 날짜, 텍스트, 논리값)이 있습니다. 빈칸과 오류값은 데이터타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내용
엑셀 워크시트에서는 데이터타입의 구분을 위해 보편적으로 TYPE 함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해당 셀의 특정 데이터타입이 맞는지 확인을 위해서는 ISNUMBER 함수, ISTEXT 함수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
데이터타입 | TEXT 함수 반환값 |
데이터타입 논리함수 |
숫자 | 1 | ISNUMBER 함수 |
날짜 | 1 | - |
텍스트 | 2 | ISTEXT 함수, ISNONTEXT 함수 |
논리값 | 4 | ISLOGICAL 함수 |
오류 | 16 | ISERR 함수, ISNA 함수 |
배열 | 64 | - |
빈칸 | 1 | ISBLANK 함수 |
- 엑셀 워크시트에서는 날짜 데이터타입을 확인하는 함수를 사용 할 수 없습니다. 날짜 데이터타입 확인을 위해서는 VBA의 IsDate 함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YPE함수에서는 빈칸인 셀은 0으로 간주하여 숫자가 입력된 것으로 취급합니다.
- ISERR 함수는 '#N/A' 오류를 참고하지 않습니다. #N/A 오류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SNA 함수를 사용하세요.
- VBA에서는 데이터타입을 더욱 세분화하여 구분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사용예시
다른 주의사항
-
- 텍스트형식으로 입력된 '숫자'는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텍스트'로 간주되므로 셀 안의 내용이 '왼쪽정렬'이 됩니다.
= 1&1 '// A1 셀에 이와 같이 입력합니다. 셀 안에 [11]이 나오지만 이는 텍스트값입니다. (왼쪽정렬)
= 1+1 '// B1 셀에 이와 같이 입력합니다. 셀 안에 2가 출력되고 이는 숫자값입니다. (오른쪽정렬)
= SUM(A1+B1) // 이제 A1 셀과 B1 셀의 합계를 구하면 2가 출력됩니다. A1 셀의 값은 텍스트화된 숫자이므로 계산이 되지 않습니다. - 텍스트화 된 숫자를 '숫자'형식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결과값에 *1 (곱하기 1)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 (1&1)*1 '// 텍스트화된 11이란 숫자에 *1을 해줌으로써 데이터타입을 숫자형식으로 변환합니다.
- 텍스트형식으로 입력된 '숫자'는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텍스트'로 간주되므로 셀 안의 내용이 '왼쪽정렬'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