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NUMBERVALUE 함수 사용법 및 실전예제 총정리 :: 텍스트 함수

숫자형태로 입력된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하는 NUMBERVALUE 함수의 사용법 및 주의사항을 알아봅니다.

작성자 :
오빠두엑셀
최종 수정일 : 2020. 07. 26. 01:35
URL 복사
메모 남기기 : (7)

엑셀 NUMBERVALUE 함수 사용법 및 공식 총정리

엑셀 NUMBERVALUE 함수 목차 바로가기
함수 요약

엑셀 NUMBERVALUE 함수는 숫자형태로 입력된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함수 구문
= NUMBERVALUE ( 텍스트, [소수점구분기호], [천단위구분기호] )
인수 알아보기
인수 설명
텍스트 숫자로 변환할 텍스트입니다.
소수점구분기호
[선택인수]
텍스트에서 소수를 구분하는데 사용된 문자입니다. 기본값은 "." 입니다.
천단위구분기호
[선택인수]
텍스트에서 천단위, 십만단위 등을 구분하는데 사용된 문자입니다. 기본값은 "," 입니다.
NUMBERVALUE 함수 상세설명

엑셀 NUMBERVALUE 함수는 컴퓨터 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비슷한 함수로는 TEXT 함수가 있으며, TEXT 함수는 숫자를 원하는 서식의 텍스트로 반환합니다.

NUMBERVALUE 함수는 숫자형태의 텍스트를 숫자값으로 변환하는데 특화된 함수인데, 이 함수가 필요한 이유는 각 국가마다 천단위구분, 소수점구분을 위해 사용되는 기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123.456' 이라는 숫자는 우리나라에선 123.456 이지만,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123,456' 으로 해석합니다. 스위스에서는 천단위 구분기호로 구두점( ' , 또는 어퍼스트로피)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예: 123'456.789)

따라서 각 나라마다 천단위, 소수점 구분기호가 다르다 보니 NUMBERVALUE 함수가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할 경우에 사용하면 유용한 함수입니다.

NUMBERVALUE 함수 사용법 간단예제
  1. 한국, 미국, 캐나다, 중국 등에서 사용되는 숫자서식 변경 (예: 1,234,567.89)
    =NUMBERVALUE("1,234,567.89")
    =1234567.89
  2. 독일, 덴마크, 이탈리아, 러시아 등에서 사용되는 숫자서식 변경 (예: 1.234.567,89)
    =NUMBERVALUE("1.234.567,89", "," , ".")
    =1234567.89
  3. %가 포함된 숫자서식 변경 (예: 123%)
    =NUMBERVALUE("123%")
    =1.23
호환성
운영체제 호환성
Windows 버전 엑셀 2013 이후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Mac 버전 Mac 용 엑셀 2011 이후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예제파일 다운로드

오빠두엑셀의 강의 예제파일은 여러분을 위해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엑셀함수] 엑셀 NUMBERVALUE 함수 사용법
    예제파일

관련 기초함수

그 외 참고사항

  • 소수구분기호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따옴표(".")가 사용됩니다.
  • 단위구분기호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쉼표(",")가 사용됩니다.
  • 빈 문자열 ("")을 텍스트로 입력할 경우, 결과값은 0이 반환됩니다.
  • 텍스트에 있는 공백(" ")은 무시됩니다. 예를 들어 "1 2 345 6 7 89" 를 텍스트로 입력할 경우, 123456789이 결과값으로 반환됩니다.
  • 텍스트에서 소수구분기호는 한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두 번이상 사용될 경우 NUMBERVALUE 함수는 #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NUMBERVALUE("1,234.567.89", ".")  ' #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텍스트에서 백분률 기호("%")는 중복사용 할 수 있습니다.
    = NUMBERVALUE("30%") ' 0.3 을 반환합니다.
    = NUMBERVALUE("30%%") ' 0.003 을 반환합니다.

관련링크 : MS홈페이지 NUMBERVALUE함수 사용법

5 3 투표
게시글평점
7 댓글
Inline Feedbacks
모든 댓글 보기
7
0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x